사업소개
Rapid Action
for Public safety Integrated R&D
추진배경
신종 감염병, 도심지 대형 싱크홀 등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재난·안전문제가 국민의 일상생활을 심각하게 위협
부처 협업 기반(과기정통부 + 행안부)의 혁신적 긴급대응체계 마련
사업목적
예기치 못한 다양한 재난·안전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구 개발(실증 포함) 및 적용 지원을 통한 문제해결 및 예방
국민생활안전긴급대응연구사업은 과학기술정통부와 행정안전부가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
자문단은 수요 제안 및 대응자원 DB 구축 등 사전준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사업내용
사전준비
재난발생 시 이슈별 신속 대응과
효과적 문제 해결을 위한
준비 및 정기적 긴급대응 수요 제시
※ 이슈별 모니터링 및 전문가 Pool 구축,
성과(기술, 장비) DB화 등
긴급대응 R&D
사고 현장대응, 피해복구, 조사분석 및 원인규명 등 긴급 R&D(실증 포함) 지원
긴급한 현장대응이나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한
기술개발 수요가 있을 경우 즉각적 대응을 위한 R&D 추진
※ 1개 과제당 2.5억원 내외, 2년간 최대 5억원
※ 연구규모, 연구기간 등은 현안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 예정
추진절차
진행절차 및 자문단 역할
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VS 일반 재난 안전 R&D
유형 |
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|
일반 재난・안전 R&D |
목적 |
예기치 못한 재난·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통한 문제해결 |
재난 및 안전관리를 위한 원천 기술 개발 |
주관 |
R&D 부처(과기정통부) 및 재난대응 부처(행안부)의 유기적 협업 |
먹거리(식약처), 환경오염(환경부), 감염병(복지부, 질본) 등 개별 대응 |
주요특징 |
절차 재난발생 2개월내 연구착수 연구기간 최대 2년 (실증,적용포함) 평가 실질적 문제해결 여부 |
절차 연구착수까지 1~2년 소요 연구기간 3~5년 (연구기간만 산정) 평가 논문, 특허, 기술료 |
연구수요 제안서 양식 다운받기
연구수요 제안하기